티스토리에 오신 걸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이 글은 비공개로 작성돼 있습니다. '편집'으로 내용을 바꾸시거나, 삭제 후 '새 글을 작성'하셔도 됩니다. 글 뿐만 아니라 블로그의 각종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블로그관리'를 확인해보세요.
#2 다양한 스킨이 있어요.
티스토리에 있는 다양한 '스킨'도 살펴 보세요. 블로그나 사이트를 사용하는 목적에 맞게 스킨을 고를 수 있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주로 하실 건가요? 잘 생각해 보시고, 마음에 드는 스킨을 고르세요. '스킨 편집'을 통해 다양한 커스텀, 그리고 홈 꾸미기를 적용하실 수도 있답니다.
#3 포럼에서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마지막으로 사용하시다가 티스토리에 대해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포럼'을 확인하세요. 찾기 어려울 땐 직접 질문을 해보는 건 어떨까요? 친절한 티슷터 분들이 바로 답변해 줄 거에요.
요즘들어 달에 대한 세인들의 관심이 부쩍 높아지긴 했지만(각종 서적, 나사직원이나 아폴로 비행사들의 증언, TV서프라이즈), 나는 소년시절부터 천체와 달, 심지어 미지의 생명체에 대한 궁금증이 참 많았다.
소년의 호기심을 60이 넘도록 가지고 있으니 나는 여전히 유치한 것 같다.
어릴적 수십번은 탐독했던 과학 전집 탓(덕?)일 수도 있고, 청소년 시절에 읽은 서머셋 모옴의 '달과 6펜스'때문일 수도 있다.
호기심은 유치하거나 엉뚱해서 무시 당하기 일쑤지만 공상의 자유로움을 통해 과거의 관념을 탈피한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일이기도 하다. 인간에게서 지적 호기심이 사라진다면 동물과 다르지 않다. 나는 동물이고 싶지 않다.
보름달을 담은 기념으로 그간 밝히기 꺼려왔던 달에 대한 나의 생각을 밝힌다.(재미로만 봐주시길)
1. 달은 기존의 학설처럼 지구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 형성된 위성이 아니다. (단정)
- 달의 금속성분은 지구의 것과 다르며, 표면 암석은 오히려 지구보다 더 오래된 것들이어서 과거 학교에서 배운 지구와 혜성간의
충돌설은 답이 아닐 수 있다.
- 달은 우연히 지구 중력에 포획된 별이거나 누군가의 목적으로 지구 옆에 붙여진 위성이다.
2. 달은 자연적으로 생성된 별이 아니고, 지적생명체에 의해 만들어진 인공위성일지도 모른다.(가설)
- 달 내부공동설이 있다. 달 지진파 검사시 종소리현상은 달의 내부가 거의 비어있다는 뜻이다. 표면안쪽은 두께 32~50km의 금
속성 물질이, 바깥 쪽은 암석으로 덮여있다. 크기도 지구의 1/4인데 질량은 1/81에 불과한 가벼운 쇠공이다. 이러한 형태는 결
코 자연적으로 만들어지지는 않는다.
- 달은 늘 한쪽 면만 보인다. 즉 한번 공전할 때 한번 자전한다는 말인데 우리 태양계엔 이런 자연위성은 없다.
- 달은 거의 완벽한 원형궤도로 지구를 돈다. 타원형이 아닌 원형궤도로 도는 위성은 지구에서 쏘아 올린 인공위성들 밖엔 없다.
- 달은 자연 위성으로 보기에는 지나치게 큰 위성이다. 통상적인 위성의 크기는 행성의 1/100 정도인데 반해, 달은 지구의
27.4%의 엄청난 크기다.
- 달을 둘러싼 금속들도 자연상태에서 만들어질 수 없는 핵원자로의 인공물질인 크롬, 티타늄, 우라늄 236 등이다.
- 달의 지표면 곳곳에서 번쩍이는 발광현상과 한달에 한번씩 울리는 달 내부의 진동음은 여전히 미스테리다.
3. 달이 만들어진 목적은 지구의 자연과 생명을 유지시키기 위한 거대한 우주프로젝트일 수 있다.(가설)
- 지구에서 바라본 달과 해의 크기는 똑같다. 실제로는 태양이 400배 크지만 거리가 400배 멀기 때문에 달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
력은 태양 못지 않다. 밀물과 썰물 현상은 지구의 대륙과 해양, 대기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23.5도 기울어진 지구의 축에 영향
을 미쳐 4계절 현상을 일으킨다. 또한 광합성작용, 인체에 미치는 영향, 지구의 자전속도와 자기장 형성 등등. 달이 지구의 자연
과 생명체에 미치는 영향은 지구 생존에 절대적이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우연이라 말하기엔 어색할만큼 기막히게 잘 계산된 수
학적 산물로 보인다.
이러한 가설이 모두 달 음모론자들의 허황된 말인지, 반대로 아직은 진실을 밝힐 수 없는 X-file이 있는 것인지 판단하기 이르다. 물론 달이 인공물이건 자연물이건 당장 우리가 살아가는데 큰 차이는 없다. 달이 자연위성이라면 우주의 섭리일 것이고, 인공위성이면 착한 외계생명체의 덕을 톡톡히 보는 것이다.
넉넉잡아 앞으로 1,000년안에는 달의 진실이 밝혀질 것이고, 10,000년의 시간이 흐른 뒤에도 인류가 진화하여 살아남는다면, 우리 자신이 태양계 어느 위기의 별에 생명유지프로젝트를 실현시킬지 모른다.
어떤 경우이든 우리는 지금처럼 살면 된다. 아침에 커피 한잔 마시고, TV를 보고, 친구를 만나고, 여행도 하면 된다. 그저 생
멸변화하는 우주의 어느 한귀퉁이에서 잠시나마 살고 있음에 감사하면 된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유기질은 기껏해야 무기질로 가득찬 우주의 파생물질이 아니겠나!
광대한 우주속에 던져진 우리는 해프닝같은 존재지만 그 확률로 따지면 말할 수 없을 만큼 귀한 존재다.